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지구 토양 수분 함량이 급감했고, 이 감소는 되돌릴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와 호주 멜버른대 류동렬 교수가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3월 27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해수면 상승량, 지구 자전축 변화, 위성 중력 자료 등을 종합 분석해 2000년대 초반부터 토양 수분이 급격히 줄어든 사실을 확인했다. 2000년부터 2002년 사이에 전 세계 토양에서 약 1614기가톤(Gt)의 수분이 빠져나갔고, 2002년부터 2016년 사이엔 추가로 1009기가톤이 감소했다. 특히 2021년까지도 토양 수분은 전혀 회복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지구 수자원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시작됐다.”라며 “현재와 같은 온난화 속도가 지속되면 토양 수분의 자연 회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라고 경고했다.
증산 상제님께서는 “지금은 천지에 수기水氣가 돌지 않으므로 묘를 써도 발음이 되지 않느니라. 이 뒤에 수기가 돌 때에는 와지끈 소리가 나리니 그 뒤에라야 땅 기운이 발하리라.”(도전道典 4:108:6~7)라고 하시며 천지의 여름철 극기에 수기가 말라붙을 것을 말씀하셨다. 지구 토양의 수분 회복 가능성이 되돌릴 수 없는 수준에 왔다는 학자들의 진단은 이 말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있다.
지구 수자원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시작됐다. 현재와 같은 온난화 속도가 지속되면 토양 수분의 자연 회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