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멸망론과 낙관론

개벽문화정보


AI 멸망론과 낙관론

상생개벽뉴스 0 385


202410_063.jpg

AI에 대한 경고


인공지능(AI)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찬사와 지탄이 극명하게 갈리는 기술이다. 한쪽에서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게 해 줄 구원의 기술로, 그 반대편에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치명적 기술로 받아들인다.

전자의 대표적인 주창자는 구글에서 인공지능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이다. 그는 컴퓨터 기술 발전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2045년쯤에는 전 인류의 지능을 능가하는 초지능이 탄생해 인간을 불멸의 세계로 이끌 것이라고 주장한다.

후자의 대표 주자는 영국의 우주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박사다. 그는 “향후 100년 안에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을 것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조작하고, 인간이 알지도 못하는 무기를 이용해 인간을 정복할 것이다.”라고 경고한다.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핵무기보다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인공지능의 개발을 ‘악마를 소환하는 행위’에 비유한다.

위험의 측면은 매우 다양하다. 최근 넷플릭스 영화 〈아틀라스〉에는 가정용 AI 로봇이 돌발 사고로 인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세계 최초 AI 테러리스트가 된다. 그런데 실제 AI가 테러에 사용된 역사적 사건이 있다. 2020년 11월 이란 최고 핵과학자 파크리자데는 경호원과 함께 승용차로 이동하던 중 '살인 AI'의 기관총 난사로 살해됐다. 당시 현장의 무인 트럭은 안면 인식 AI 시스템을 갖췄고 원격조종으로 공격한 뒤 자폭했다. 팁 러닝의 창시자로 구글에서 부사장을 지냈던 제프리 힌턴Geoffrey Hinton 현 토론토대 명예교수는 “10년 이내에 자율적으로 인간을 죽이는 로봇 병기가 등장할 것으로 본다.”며 AI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024년 6월 로봇 개가 이미 인민해방군에 실전 배치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로봇 개는 두 종류로 정찰용은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장애물을 우회하며 자체적으로 정찰 경로를 선택할 수 있고, 고화상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공격용은 소총은 물론 로켓포 등 다양한 무기를 장착할 수 있다. 표적을 수색해 사격을 하기도 하고, 적의 장갑차에 접근해 로켓을 발사하기도 하는 등 높은 시가전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0년 세포에 인공 합성 유전자를 주입해 세계 최초의 인공 생명체를 만든 크레이그 벤터Craig Venter 연구소는 2021년에 자손 번식까지 가능한 인공 세포를 내놓았다. 이제 AI가 인공 바이러스를 대량 생산하는 일이 현실화를 앞두고 있어 유출 우려도 커지고 있다. 2023년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와 AI 챗봇chatbot의 대화에서 AI는 “치명적 바이러스를 개발하거나, 핵무기 발사 버튼에 접근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확보하겠다.”고 답했다. AI가 마음만 먹으면 바이러스를 만들어 퍼뜨릴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는 것이다.

최근 미국 뉴욕주가 청소년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알고리즘 추천 콘텐츠 제공을 금지하는 법을 만들어 통과시킨 것도 AI의 부정적 면이 부각된 사례다. 어떻게든 사용자들을 플랫폼 안에 머물게 해야 돈을 버는 SNS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AI 알고리즘에 의해 개인의 성향에 맞는 자동 피드(게시물)를 제공한다. 소비자에게도 편리한 이 기능을 아예 법적으로 차단시키겠다고 뉴욕주 정부가 나선 것이다.

알고리즘Algorithm은 수없이 많은 정보 가운데 나에게 맞는 맞춤형 정보만 쏙쏙 알아서 제공해 주는 기능으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실,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우연히라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AI가 알아서 삭제시키는 무서운 장치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혹시 얻을 수도 있었던 사고의 다양성을 뺏어 가는 도구일 수도 있다. 사용자를 편리하게 해 주는 장치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극도로 편협하게 만들 수도 있는 시스템이다.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는 SNS에서 알고리즘을 통해 제공되는 피드가 아이들을 “폭력적이며, 성적으로 노골적인 콘텐츠로 유도”하고 있으며, “결국 중독의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핵심 변인”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SNS가 만드는 이 알고리즘 생태계는 “미성년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신적 고통과 트라우마로 귀결된다.”라고도 덧붙였다. SNS와 알고리즘이 미성년자들에게 미치는 유해성을 인정하며 각종 입법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미국 각 지역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AI는 분명 양날의 칼이다.
 

202410_064.jpg

생산성 향상에 앞장서는 AI


반면 무한한 기회의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AI는 다양한 산업에서 작업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최적화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반도체 설계의 전설로 불리는 짐 켈러Jim Keller는 AI가 조만간 모든 소프트웨어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 의료 분야에서는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하고 건강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AI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암세포와 치료제가 결합하는 구조를 정확히 예측해 그동안 수년씩 걸렸던 신약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인공지능 모델이 등장했다. ‘알파고’ 개발사로 잘 알려진 구글의 인공지능 기업 딥마인드DeepMind는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 AI 모델인 알파폴드의 최신 버전 ‘알파폴드3’를 공개했는데 과학자들도 애를 먹었던 복잡한 세포의 단백질 구조를 30분이면 찾아내어 주목받았다.

2024년 5월에는 AI를 활용한 사상 최대 규모의 뇌 3차원 지도도 공개됐다. 구글과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복잡한 인간 두뇌의 구조를 낱낱이 밝혔는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세포 사이의 경로를 구분하고, 세부 구조를 3차원으로 재구성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뇌 기능과 관련 질병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자율주행을 위한 ‘14억의 실험실’이라 불리는데, 도시 전체를 자율주행 실험실로 만든 건 ‘시티 브레인’이라는 인공지능과 첨단 모빌리티로 무장된 지능화 도시라는 콘셉트를 수출 모델로 삼기 위해서다. 이동 시간이 업무와 공부와 휴식의 시간으로 바뀌는 새로운 개념을 보게 될 것이라 전망한다.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인공지능의 출현이 얼마 안 남았다는 전망 앞에서, 인간은 선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가을 인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시대정신의 한가운데에 있다. (한재욱 객원기자 )
 

202410_065.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인간 치아 배양 첫 성공

댓글 0 | 조회 28
상어는 평생 수천에서 수만 번 이빨을 갈고, 코끼리도 여섯 번에 걸쳐 이를 교체한다. 그러나 인간은 단 한 번뿐인 영구치로 평생을 살아가야 한다. 그래서 치아를 잃으면 임플란트나 보철물 같은 인공 대체물이 유일한 선… 더보기

지구 토양의 수분 회복 가능성 없다

댓글 0 | 조회 24
(출처 : https://youtu.be/-AURyXlhSxo?si=EuAaSP7CKvvmfWkR)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지구 토양 수분 함량이 급감했고, 이 감소는 되돌릴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가 … 더보기

한반도의 전쟁을 대비하는 청년들 ‘프레퍼’

댓글 0 | 조회 29
최근 한반도에서 전쟁이나 재난 상황에 대비하는 ‘프레퍼Prepper’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Prepare(준비하다)에서 유래한 용어로, 전쟁⋅자연재해⋅경제 위기⋅사회 혼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해 생존 용품을… 더보기

서울 도심 한복판, 대형 싱크홀 발생

댓글 0 | 조회 39
“이젠 땅 꺼지는 것까지 걱정해야 하나”또다시 싱크홀Sinkhole(함몰 구멍) 사고가 발생했다. 2025년 3월 24일 오후 6시 29분경, 서울 강동구 명일동 동남로 대명초등학교 입구 교차로에서 대형 싱크홀이 생… 더보기

한반도 내륙을 집어삼킨 괴물 산불

댓글 0 | 조회 34
안동⋅청송 전 주민 대피령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안동, 영덕, 영양, 청송 등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며 전국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낳고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은 3월 27일 오전 9시 기준 3만 … 더보기

트럼프의 외교 쇼, 러⋅우 전쟁 포성 멎게 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43
미⋅우 광물협정, 그리고 완충지대 구상2025년 2월 28일,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은 그야말로 리얼리티 쇼를 방불케 했다. 트럼… 더보기

짧아야 산다 : 쇼트 폼 콘텐츠Short-form Contents의 시대

댓글 0 | 조회 49
“길면 죽는다. 짧아야 산다.” 최근 콘텐츠 시장을 휩쓰는 변화의 함축적 표현이다. 드라마⋅영화⋅웹툰 등 긴 분량의 콘텐츠를 끝까지 보는 이들은 점점 줄고, 15초~1분 내외의 짧은 영상이나 간단한 요약 문구로 구성… 더보기

화마火魔에 갇힌 LA

댓글 0 | 조회 46
일곱 개의 산불 동시다발 사태미국 LA 산불의 규모천사의 도시 로스앤젤레스(LA)가 산불로 무너졌다. 팰리세이즈 화재, 이튼 화재, 허스트 화재 등 3개의 대형 산불을 포함해 최소 일곱 개의 산불이 LA 카운티 전역… 더보기

넷플릭스 다큐 라팔마, 가까이 다가온 메가 쓰나미

댓글 0 | 조회 66
머리말지구과학자들은 북아프리카의 라팔마섬이 화산 폭발로 붕괴될 경우 높이 650미터라는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해일(메가 쓰나미)이 대서양을 가로질러 미국 동부 해안을 강타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섬 하나가 무… 더보기
Hot

인기 중동 정세의 대지각변동, 시리아 54년 철권통치 종식

댓글 0 | 조회 196
알아사드 독재 정권 붕괴54년 철권통치가 무너졌다.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Bashar al-Assad 정권이 반군의 본격 공격으로 고작 2주도 안 돼 무너졌다. 2011년 ‘아랍의 봄’ 이후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 더보기
Hot

인기 2024년의 주요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20
2024년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건과 변화가 있었던 해였습니다.다음은 2024년의 주요 10대 뉴스입니다.1. 도널드 트럼프 당선, MAGA 제2기 시대2024년은 전 세계 약 70개국에서 대통령 선거, 총선거,… 더보기
Hot

인기 시두 팬데믹의 전조, 엠폭스MPOX 대유행

댓글 0 | 조회 200
폭스 비상사태 선포엠폭스MPOX(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증)라는 질환은 2022년 유행 전까지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풍토병이었다. 2022년 5월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다수… 더보기